2024년부터 삼성페이에 운전면허증이 들어 간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신분증은 대부분 카드 형태로 된 것을 행정기관이나 해당기관에서 발급반아 사용해 왔습니다. 일부 증명같은 것은 삼성페이나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도 있었습니다. 행안부는 2024년부터 삼성페이와 협약하여 모바일운전면허증과 모바일 국가보운등록증을 삼성전자의 갤럭시 휴대전화에 탑재하기로 협약하였다고 합니다.따라서 앞으로는 이 두가지 신분증은 갤럭시계열 흎대전화를 사용하는 분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삼성페이의 모바일 신분증의 사용범위
내년 초부터 시행될 예정인 삼성페이의 모바일 신분증은 온 (on), 오프 (off)라인상에서 사용되며 온라인 상의 비대면 신분증으로도 사용되는 통합형 신분증이 될 것이라 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통합된 신분증으로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효과를 가질 것이라 합니다.
삼성페이 모바일 신분증의 보안 강화
행안부와 삼성전자는 세계 굴지의 스마트 폰 제조사인 삼성전자만이 개발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바탕으로 강력한 보안체계를 이용해 모바일 신분증의 약점으로 여겨지는 보안을 강화하여 민간 앱 (app)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고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신분증은 스마트 폰의 기억장치 중 특별한 영역이 아닌 일반 영역에 저장하고 있어 데이터를 여러 앱에서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이번에 만들어지는 모바일 신분증은 메모리의 일반 영역이 아닌 AP (application processor, 응용프로그램 처리장치) 내부의 특정한 영역의 보안 구역에 저장하여 안전하게 보관한다고 한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의 문제점이라고 여겨지는 보안성을 매우 강화한 것이다.
삼성페이 모바일 신분증의 편리성
그렇다면 모바일 신분증을 사용하면 어떤 것이 편리할 것인가를 살펴보겠습니다. 예를들어 보훈 수례자가 공영주차장에 주차할 경우 소정의 할일을 받습니다. 이경우 현재는 국가 보훈증과 결재카드를 따로 보여 주어야 합니다. 모바일 국가보훈증을 사용하면 이와 연결된 삼성페이 카드가 있다면 신분증만 보여주면 자동으로 결재됩니다. 이렇게 신원확인과 결재를 삼성페이를 이용한 모바일 신분증을 사용하면 편리하게 됩니다.
이 협약식에는 이상민 행안부 장관과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사장)이 참석했다. 행안부에서 추진하는 모바일 신분증은 ‘디지털 플랫폼 정부 실현계획’의 핵심 과제다. 아마 이것이 모바일 신분증 시대로 가는 첫 걸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모니터의 해상도에 대해 (0) | 2023.10.20 |
---|---|
컴퓨터 모니터 발전에 대해 (0) | 2023.10.18 |
저공해 자동차의 혜택 (0) | 2023.10.11 |
2024년에 변경예상 되는는 운전면허제도 (0) | 2023.10.06 |
HDTV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9.22 |
텔레비젼이 어떻게 발전했을까? (0) | 2023.09.17 |
댓글